목록에러노트 (3)
siklog
얼마전 Cloud DB for MSSQL를 테스트할 일이 있어 새로 생성하여 Public 도메인으로 접속하려던 중 접속이 되지 않은 적이 있었다. 그때 Cloud DB for MSSQL 인스턴스의 인바운드 접근제어는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었는데, (아웃바운드는 All open) [ACG rlue] - 해당 DB 인스턴스에 대해 1433, 5022포트 접근 허용 - 접속 요청지 IP 1433포트 접근 허용 [NACL rule] - 우선순위1 : 해당 DB 인스턴스에 대해 1433, 5022포트 접근 허용 - 우선순위2 : 접속 요청지 IP 1433포트 접근 허용 - 우선순위10 : 0.0.0.0/0 1-65535포트 차단 NCP 내에 생성한 VM에서 ODBC로 접근을 했었고, 아예 외부에서 해당 DB로 접근..
테스트 환경 : centos-7.3-64 NCP에는 VM에 할당하여 사용하는 Block Storage를 제공하고 있다. Block Storage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Storage 이외 추가 Storage를 할당할 수 있는데 간혹 잘못된 파티션 설정으로 인해 부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위의 경우는 CentOS7에서 잘못된 파티션 설정으로 인해 emergency 모드로 자동으로 넘어간 상태이며, CentOS7이나 8버전의 경우, 기본적으로 부팅 과정에서 디스크 혹은 기타 잘못된 설정이 탐지된 경우, 자동으로 긴급 모드로 넘어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fstab 설정 오류 복구 방법 - 잘못된 파티션 설정으로 인하거나 부팅 중 커널 패닉과 같은 이유로 emergency 모드로 넘어간 상태일..
OS : ubuntu-18.04 Ubuntu 서버에 패키지를 설치할 때 간혹 에러 문구와 함께 설치 오류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아래 스크린샷은 nginx를 설치했을 때 발생한 경우이긴하나 다른 패키지 설치 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내용을 보면 두 가지 정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80번 포트 문제 설치 패키지 문제 설치가 우선적이기 때문제 포트 문제는 나중에 해결하고 먼저 설치 패키지 부분을 해결하도록 하자 E: Sub-process /usr/bin/dpkg returned an error code (1) 해당 에러는 찾아본 결과 깨진 패키지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로, 데비안 기반 배포의 일반적인 문제 중 하나라고 한다. sudo apt update로 해결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