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3)
sik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iF4E/btrFjxxGMcZ/DqlVwK4k3Z4Cg1UEkn7T2K/img.png)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이름 그대로 원격지의 서버에 필요한 파일을 올리기 위한 도구로, 인터넷 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멀리 떨어져 있는 서버로 파일을 올리거나 가져오기 위해 필요한 일종의 프로토콜이다. 서버를 사용해본 사람들이라면 FTP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만큼, 많이 사용되는 서비스이다. FTP는 Active, Passive 두 가지 모드가 있는데 이번 포스팅은 Active, Passive 두 가지 모드에 대해 작성해 보려고 한다. Step 1. FTP 모드 먼저 Active, Passive 두 가지 모드를 간략하게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Active Mode에서는 아래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1. 모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측 포트로 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Vk95/btrEHXjIVxc/m81Vnuok2udxwMKNykvF40/img.png)
Sticky Session 은 특정 세션의 요청을 처음 처리한 서버로만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세션을 이용하여 트래픽을 분산하는 것이다. 만약 A라는 서버에서 서비스되는 웹사이트가 있다면 이 웹 사이트로 로그인을 할때 session을 서버에서 생성을 하게 된다. 이때 로드 밸런서에 연결된 다른 B서버에서 서비스되는 웹사이트로 접속하면 세션이 공유되지 않아 새로 로그인을 요청하게 된다. 말하자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방금 로그인을 했는데 다시 로그인을 또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션 관리의 문제 현상을 없애기 위해 Sticky Session 을 이용한다고 보면 된다. NCP의 ALB에서는 Target Group 별로 Sticky Session을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데, Ta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goor/btrEcwNIqjV/CkkrhAKZTu9gtvIQlltME0/img.png)
이번 포스팅에서는 MySql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하 테스트 방법 중 mysqlslap 과 sysbench 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려고 한다. 해당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VM에 DB를 올려 사용하는 설치형 DB에서 활용해 볼 수 있다. 다만, 클라우드 환경같이 완전관리형으로 제공하는 DB의 경우에는 OS단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방법을 사용할 수는 없다. MySql 부하테스트 – mysqlslap MySql에서는 간단한 부하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mysqlslap 유틸리티를 제공하고 있다. * mysqlslap 사용법 mysqlslap [option]의 형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옵션 중 --create or --query는 SQL문법을 포함한 스트링 문자열이거나 파일이여야 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mJGH/btrDESjFz5q/VgKy3IwA40AeJ2OH9fP7Ek/img.png)
테스트 환경 : centos-7.3-64 NCP에는 VM에 할당하여 사용하는 Block Storage를 제공하고 있다. Block Storage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Storage 이외 추가 Storage를 할당할 수 있는데 간혹 잘못된 파티션 설정으로 인해 부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위의 경우는 CentOS7에서 잘못된 파티션 설정으로 인해 emergency 모드로 자동으로 넘어간 상태이며, CentOS7이나 8버전의 경우, 기본적으로 부팅 과정에서 디스크 혹은 기타 잘못된 설정이 탐지된 경우, 자동으로 긴급 모드로 넘어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fstab 설정 오류 복구 방법 - 잘못된 파티션 설정으로 인하거나 부팅 중 커널 패닉과 같은 이유로 emergency 모드로 넘어간 상태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70xx/btrCHdodsRL/yNrZmhHdKh6WS64MuYdDLK/img.png)
OS : ubuntu-18.04 Ubuntu 서버에 패키지를 설치할 때 간혹 에러 문구와 함께 설치 오류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아래 스크린샷은 nginx를 설치했을 때 발생한 경우이긴하나 다른 패키지 설치 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내용을 보면 두 가지 정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80번 포트 문제 설치 패키지 문제 설치가 우선적이기 때문제 포트 문제는 나중에 해결하고 먼저 설치 패키지 부분을 해결하도록 하자 E: Sub-process /usr/bin/dpkg returned an error code (1) 해당 에러는 찾아본 결과 깨진 패키지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로, 데비안 기반 배포의 일반적인 문제 중 하나라고 한다. sudo apt update로 해결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Db3h/btrCdIBAhhN/eB058oKaZRySkBE3xechj0/img.png)
NCP에서 제공하는 Kubernetes Service인 NKS 가이드에는 생략된 설명 부분이 있어 본포스팅에서는 생성부터 접근 방법까지 간략하게 순서대로 작성해보려고 한다. 0. 사전준비 NKS는 현재 VPC 환경에서만 제공되고 있고 따라서, 먼저 VPC 및 Subnet 을 생성해야 한다. Kubectl은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CLI로, 운영 체제에 알맞은 방법으로 Kubectl을 설치하면 된다. * VPC 및 Subnet 생성과 Kubectl 설치 방법에 대해서는 생략. 1. 클러스터 생성 앞서 만들어 놓은 VPC 와 Subnet을 선택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해 주면 된다. * 노드풀은 생성 이후에도 추가가 가능하나, 노드 수는 클러스터 생성 시 선택하는 최대 노드 수 이상으로 생성은 불가능 하..